Skip to content

healing
eye clinic

DRY EYE

안구건조증이란?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하여 눈물 구성 성분의 균형이 맞지 않아서 발생되는 질환입니다.
안구표면의 손상과 함께 눈이 시리고 이물감, 건조감 같은 증상을 느끼게 됩니다.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하여 눈물 구성 성분의 균형이 맞지 않아서 발생되는 질환입니다. 안구표면의 손상과 함께 눈이 시리고 이물감, 건조감 같은 증상을 느끼게 됩니다.

안구건조증 눈물층

01점액층

 눈물이 퍼지지 않게 모아주며 각막의 습윤 및 눈물막 고정

02수성층

적정 수준의 산도와 염가로 유지, 눈물막의 대부분을 차지

03지방층

수성층의 증발과 눈물층 파괴를 막음

DRY EYE

안구건조증 주요 원인

01

눈물 성분의 불균형

스트레스, 과로, 영양불균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눈물샘 기능이 떨어져 눈물층의 균형이 붕괴된 경우
스트레스, 과로, 영양불균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눈물샘 기능이 떨어져 눈물층의 균형이 붕괴된 경우

02

환경적요인

스마트폰이나 PC를 장시간 사용한 경우, 장시간 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황사나 미세먼지가 심한 날씨에 외부 활동이 잦은 경우 등
다양한 환경적 & 생활환경적 요인들이 유발하는 경우
스마트폰이나 PC를 장시간 사용한 경우, 장시간 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황사나 미세먼지가 심한 날씨에 외부 활동이 잦은 경우 등 다양한 환경적 & 생활환경적 요인들이 유발하는 경우

03

노화

40대 이후 노화로 인해 신체적인 능력이 저하되면서
자연스럽게 눈물 분비량이 감소하는 경우
40대 이후 노화로 인해 신체적인 능력이 저하되면서 자연스럽게 눈물 분비량이 감소하는 경우

04

수술 후유증

라식/라섹, 백내장, 녹내장 등 다양한 눈 수술 이후 발생하는 경우

DRY EYE AFTER LASIK/LASEK

라식/라섹 후 건조증

라식/라섹 수술 후 안구 건조증은 눈물분비를 조절하는 각막지각 신경들이 레이저로 각막을 제거할 때 함께 제거되는 손상을
입게 되면서 눈물분비가 적어지고 눈물막이 불안정해져 발생합니다. 수술 후 일시적인 시력저하, 뿌옇게 보임, 겹쳐보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의 변동이 큰 것이 특징이므로 부족한 눈물을 지속적으로 보충해줘야 합니다.

라식/라섹 수술 후 안구 건조증은 눈물분비를 조절하는 각막지각 신경들이 레이저로 각막을 제거할 때 함께 제거되는 손상을 입게 되면서 눈물분비가 적어지고 눈물막이 불안정해져 발생합니다. 수술 후 일시적인 시력저하, 뿌옇게 보임, 겹쳐보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의 변동이 큰 것이 특징이므로 부족한 눈물을 지속적으로 보충해줘야 합니다.

레이저로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해 자가혈청과 힐링아이클리닉을 병행

6개월에서 1년 이내로 대부분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기 때문에 그 기간동안 무방부제 인공눈물 및 눈물연고를 수시로 점안해야하며 증상이 심할 시엔 자가혈청 등의 개개인의 맞춤처방을 시행합니다. 라식을 한 경우 건조증에 비해 각막의 민감도가 떨어져 눈깜빡임 횟수가 줄고 눈꺼풀염을 초래할 수 있어 힐링아이클리닉을 병행합니다.

DRY AFTER CATARACT SURGERY

백내장 수술 후 건조증

수술로 손상된 안구표면을 눈물점폐쇄술과
IPL 레이저로 재생유도

수술로 손상된 안구표면을 눈물점폐쇄술과 IPL 레이저로 재생유도

백내장 수술 후 안구건조증은 구결막상피의 편평상피화생 – 상피세포간 간격의 증가, 핵/세포질 비율의 증가, 술잔세포의 감소 등의 안구표면 변화로 인한 것으로 그 원인으로 수술 후 사용하는 점안약제들의 부작용, 각막신경의 손상에 의한 neural loop의 손상, 수술손상과 약제 사용에 의한 눈물층 내의 염증인자의 증가 등이 있습니다.

수술 중 각막 손상을 최소화하고 개개인의 회복상태에 따라 일률적인 안약사용이 아닌 맞춤형 안약처방으로 약제 부작용을 최소화해야합니다. 백내장 수술을 받으신 모든 분들에게 수술 후 지친 눈을 위해 눈물점 폐쇄술과 촉촉한 IPL 레이저 및 힐링아이클리닉을 실시합니다.

ALLERGY DRYING

알레르기동반 건조증

눈의 스트레스를 낮추는
알레르기 동반 건조증 치료법

알레르기 결막염은 비염과 동반된 경우와 눈꺼풀염과 동반된 경우가 치료가 다르므로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을 받아 개개인 맞춤형 치료를 받아야합니다.

만성비염과 동반된 경우 전문가의 진료하에 소염제의 적절한 조절이 중요합니다. 눈꺼풀염이 동반된 경우, IPL 레이저와 힐링아이클리닉, 세안 및 눈위생 교육, 안검용 소독액을 이용한 관리 등을 병행합니다.

DRY EYE

안구건조증 자가진단

01

모래알이 들어간 듯한 이물감,
화끈거리는 느낌이 든다.

02

아침 기상 시 혹은 오후 저녁에 심해지고
건조한 환경에서 더욱 심해진다.

03

눈을 오래 뜨고 있기 힘들고 쉽게 피로해진다.

04

잘 사용하던 콘택트렌즈 착용이 어렵다.

05

눈 부심이 있거나 혹은 눈물이 왈칵 쏟아지는 듯이
많이 흐르는 현상이 나타난다.

06

이유없이 눈물이 흐를 때가 있다.

01

모래알이 들어간 듯한 이물감이 있다

02

눈을 오래 뜨고 있기 힘들고 쉽게 피로해진다.

03

눈 부심이 있거나 눈물이 많이 흐른다

04

아침 기상 시 더욱 심해진다.

05

잘 사용하던 렌즈 착용이 어렵다.

06

이유없이 눈물이 흐를 때가 있다.

원인 치료가 우선입니다.

안구건조증의 근본적인 원인을 아는 경우에는 원인 치료가 우선입니다.
즉, 안구건조증의 원인이 되는 약물을 복용하고 있다면 약물 복용을 중지해야 하고, 각막염, 결막염, 눈꺼풀의 염증 등이 있으면 이를 치료해야 하며 폐경기 여성의 경우에는 여성 호르몬 보충요법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 비타민 A의 결핍으로 생긴 경우에 비타민 A가 포함된 안연고도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